IJN BB YAMATO 1/700 SCALE, TAMIYA
2008-01-22, HIT: 7417
이순성, 이정숙외 75명의 회원님이 이 작품을 좋아합니다.
박상현
일본해군 전함 야마토는 일반적으로는 최종사양을 많이들 만드십니다만 제가 만든 이야마토는
바로 레이테 해전 당시의 사양입니다. 이 당시만 해도 상부구조물 측면에 무수히 늘어선 대공포가 그다지 많이 있지 않은 전함적인 모습이 강한 형태라 다소 SF적인 최종형 보다 좋아합니다.
최근에 만든 따뜻한 완성품은 아니고, 함선은 2003년에 이곳에 한 번 올린적 있고,
바다 베이스는 그 다음해인 2004년에 완성 했던 녀석입니다.
지금까지 함선모형을 하면서 항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있었는데, 바로 사진입니다.
다른 장르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길이는 무지 길고 폭이 좁은 함선의 경우 사진 한
컷에 함선의 전체모습을 선명하게 담는 다는 것이 보통 일은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카메라저 똑딱이라면 더할 나위없는 숙제를 안겨주는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이 번에 똑딱이로도 수동조작을 하면 피사체 심도가 깊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는 정보를
얻어서 한 번 시도해 봤습니다. 제 카메라의 경우 자동 으로 놓고 찍을 경우 조리개 값이
F2.1~F2.8정도로 되어서 인물사진용인 아웃 포커싱이 되더군요. 그래서 이 번에는 수동으로
노출치를 F8.0에 고정 시켜두고 찍어 봤습니다. 그랫더니 예전 자동으로 찍을 때는 도저히
얻을 수 없는 장면을 얻을 수 있더군요.
앞의 사진과 같이 길이가 긴 함선의 특징을 살릴 수도 있고, 앵글을 약간 바꾸어 비슷한
구도이지만 이런 사진도 얻을 수가 있더군요.
조리개를 최대한 조임으로써 셔터스피드가 늦어지는 점은 있지만 그래도 예전에 얻지
못했던 피사체 심도가 깊은 그런 사진을 얻을 수 있어서 대만족입니다. 예전에는
촛점이 가운데만 맞고 나머지 부분은 포기를 했었어야 했거든요.
지금봐도 역시 25밀리 대공기총은 너무 오버 스케일 처럼 보입니다. 당시에는 에칭은
볼륨감이 없을 것 같아서 쓰지 않았는데, 지금 보니 후회가 됩니다. 제작한지 몇년이
되었더니 역시 파손된 흔적도 보이네요.^^;
최근의 동향대로라면 측면의 현외전로나 보트 데빗같은 것도 전부 에칭으로 바꾸어 주었겠지만
그 당시에는 그런 부분의 에칭도 공급 되지 않았을 뿐더러 그런 곳까지 신경쓰시는 분들이
별로 없었습니다.
아크릴 케이스에 보관하다가 끄집어 내면서 최상부의 측거의 부분을 건드렸는지 방향이
돌아가서 주포들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네요.
반대편에서 바라본 함교쪽입니다. 함교 상부의 대공관측소에 수병이 몇 명 보이네요.
요즘 같으면 저 부분에 망원경 같은 것으로 디테일 업을 하시겠죠.^^
어찌보면 괜찮은 구도같기도하고, 일본해군기가 강조되어 보여서 좀 그렇기도 합니다만
야마토의 뒷태를 보기에 적당한 컷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함선을 만들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인 연돌 부분의 크로즈 업입니다. 저기 연돌 캡에 들어간 에칭부품만 16조각이나 됩니다.
함재기와 크래인 쪽인 선미 샷입니다.
야마토 뒤를 항공기를 타고 따라가면 이런 장면도 볼 수 있었겠죠.
마지막으로 정면샷을 한 컷 올림으로써 마칠까 합니다.
사실 2003년도에 올렸던 함선이라 다시올릴까 많이 망설였습니다만
2004년도에 네오지 소개의뢰를 받아서 바다베이스를 다시 만들었기 때문에
다르다고 우겨봅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