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0 방송선 납북 사건 jms정
2015-09-19, HIT: 5819
계양산호랑이, 무명병사외 51명의 회원님이 이 작품을 좋아합니다.
빨간토끼(김동영)
마지막은 백두산함과 한컷
참고로 백두산 함은 대전당시 미국의 구잠함 입니다.(덩치 차이가...)
미국과 일본의 구잠함을 모두 사용한 독특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해군
1. 몽금포 작전
jms정 들은 49년 8월 16일에 북측의 몽금포항을 공격하는 전투에 참가 합니다.
이 전투에서 총격을 받아 부상당한 아군을 구조해 내고 지원사격을 가하고 경비정 한 척을 끌고오는등 대 활약을 하지만
몽금포 작전이 50년 6.25 사변을 북침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언급이 금지되고 잊혀집니다. (지금은 전승비도 만들고 다시 조명하는 중.. 이지만 역시 별로 알려지지 않음)
2. 6.25사변
백두산함의 대한해협해전 으로 막긴 했지만 해안을 통안 북의 소규모 상륙작전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이를 막기 위해 jms정도 충동 하지만 (yms정 등은 교전기록을 가지고 있음-침몰시키진 못함)
급히달려오던 미해군의 아틀란타급 경순양함 쥬노가 '해당 해역에 아군함정 없음' 이라는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있는 바람에 오인사격으로 한 척이 침몰당합니다.
남은 jms정 들은 부득이하게 철수해야 했고 속속 집결하는 연합군의 함대의 위엄에 밀려 할일을 잃고(남아닜던 북측 선박들은 수일 내로 전멸) 덤으로 해군에 보다 덩치큰 함정들이 보급되면서 해군의 주력함정 자리를 내어주게 됩니다.
3. 방송선 피랍
1970년 6월 6일 서해상에서 jms정(뉴스에는 방송선으로 나옴) 한 척이 다수의 경비정에게 공격을 받고 피랍되는 사건이 발생 합니다. 탑승인원 전원이 저항하다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고 (지금도 확실히 밝혀진건 없음) 배는 끌려가다가 대미지가 누적되어 침몰한 것으로 추정 됩니다.(전리품 자랑 좋아하는 북한에 방송선이 전시된게 없음)
`월북`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신빙성은 떨어지는 편
실질적으로 해군 함정중 가장 많은 실전기록과 그리고 장병들의 희생을 담고있는 배 인데 어지간한 골수 밀덕이 아니면 존재하는지도 모르는 잊혀진 배가 되어 버린게 (검색해도 나오는게 별로 없음)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