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segawa 1/48 F4U-5N Corsair
2021-06-25, HIT: 1952
궤도이단의 추억, 남원석외 44명의 회원님이 이 작품을 좋아합니다.
김청하
한국전쟁 당시 F4U-5N의 대표적 사진으로 1951년 9월 4일 CV-21 USS 복서 항공모함 옆에서 비행중인 사진이 유명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영국의 슈퍼마린 씨파이어 FR.47, 호커 씨퓨리, 다른 해군 항공대들과 함께 공대지 지원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이미 제공권은 UN군이 잡은지 오래였기 때문에 미국, 영국, 호주, 남아공 등등 UN군의 항공기들은 모두 공대지 타격 임무를 주로 수행했었죠. 물론 호커 씨퓨리의 경우 1952년 8월 8일에 4개 편대가 평양-만천 철도 폭격 작전에서 중공군의 MiG-15를 격추, 미해군의 F4U-4B가 세계 최초로 프롭기가 제트기를 격추하는 사례를 만든 경우(MiG-15 격추)처럼 간혹 공대공 임무도 수행해야 했습니다만 UN군 항공기에 비해 공산군 항공기는 그 숫자가 부족해서 안심하고 공대지 타격 임무를 마음껏 수행한 모양입니다.
F4U-5N은 F4U-5에 레이더를 장착하여 야간 작전이 가능하도록 만든것으로서 영국 히스파노-수이자 20mm 기관포를 M3 20mm 기관포로 수정해 사용한 F4U-4B를 따라 이것도 M3 20mm 기관포가 똑같이 4정 장착되었는데 깔대기 같은 모양의 소염기를 모두 장착했습니다. 즉, 사진을 보시면 기관포가 길죽히 튀어나와 있는데 원래 저런게 아니라 소염기를 장착한것이죠. 그리고 F4U-5는 해병 항공대에 한정 배치되어 활약했고 이 F4U-5N과 F4U-4B는 해군 항공대에 배치되어 활약했습니다. 그외 F4U-5로 개수되면서 엔진을 비롯해 이것 저것이 전훈을 바탕으로 계량되었던 녀석이였는지라 기본적인 항공기 성능은 가뜩이나 좋은 콜세어의 성능에 날개를 달아준격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