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DEMY 1/35 M18 Hellcat
2021-12-14, HIT: 2852
리봉, 김성민외 56명의 회원님이 이 작품을 좋아합니다.
김청하
영국이 고관통 주포를 개발하고 소련은 고화력 주포를 개발하였다면 미국은 보병 지원용 프랑스제 1897년식 75mm 야포를 활용한 75mm 주포를 사용하며 셔먼을 운용하였습니다. 비록 멕네어 장군이 셔먼을 밀어주느라 온갖 무리수와 모의 전투 훈련에 개입을 해가며 셔먼을 밀었긴 했고, 그가 그토록 보여준 통계 자료 역시 정말로 미국 전차병들의 손실은 영국, 소련과 비슷하거나 더 낮았고 습식 탄약고 적용으로 4호전차를 비롯한 일반 전차들의 탄약고 피격 후 화재율이 10퍼센트로 뚝 떨어지는등 멕네어 말이 다 틀린 것은 아니였지만 대전차포를 따로 운용해서 다닌다는것은 이제 비 효율적이라는 평을 듣습니다. 지금 보아도 대전차 전력을 전부 견인 대전차포와 M10 울버린에게 맡기는건 공격적인 아군 작전도 힘들고 이미 그당시에도 비판을 받은 전략 전술이면... 그래서 셔먼의 차대를 유용해 M10 울버린을 개발하여 3인치 주포를 장착했지만 미군은 울버린 말고도 또 다른 대전차자주포를 원하게 됩니다.
미군이 원한 스펙은 다음과 같은데:
1. 빠르게 기동이 가능할 것
2. 저렴할 것
3. 항공기에 수송해서 공수 시키는 공수전차 용도로 쓸 수 있는 경차량일 것
이 3가지를 기반으로 제작을 시작하여 M18 대전차자주포로, 기존의 미군 전차들과 제작하는 방식이 달랐다고 합니다. 그리고 엔진은 셔먼과 같은것을 사용하였는데 변속기까지 연결되는 축의 연결부 모양을 바꿔서 최대한 낮추어 전차의 높이를 낮췄다고 합니다. 그리고 M18 핼캣과 F6F 핼캣의 Hellcat은 단순한 지옥 고양이가 아니라 '지독한 말괄량이'로 순화... 가 좀 부족할 듯한 욕이라고 하더군요. (...)
모형 이야기로 보면, 아카데미 핼캣은 지금 기준으로 보면 부족한 점이 꽤 많은 키트입니다.
포방패 방수포 부품이 사실상 직접 자작하는게 더 좋을 정도의 형태인것은 넘어가더라도 차체 후방이 완벽하게 > 모양으로 꺾여져 있고, 포탑에도 오류가 많으며 차체 연료 탱크 뚜껑은 아예 방향이 잘못된 점이 대표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한두가지가 아닌 키트입니다. 이번 타미야의 신제품은 그 오류들을 모조리 잡은 모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