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아카데미 3호전차가 좋은 킷이지만 서스펜션이 고정되어 있지요.
그래서 약간의 개조를 통해 서스펜션 가동을 구현해보기로 했습니다!
3호전차의 서스펜션은 토션바타입이라서 비교적 간단하게 개조할 수 있었습니다.
그림과 같이 좌우 6개씩, 총 12개의 프라봉(1.5mm)를 서스펜션암에 끼운뒤에 반대측 차체에 단단하게 붙여줍니다.
2번~5번은 상하에 스톱퍼가 있어서 암의 스윙이 걸리게 되어 문제가 없는데, 1번과 6번 암은 쇽업소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작업을 위해서 스프로켓은 위의 사진과 같이 프라봉을 이용하여 연결해서 돌아가도록 개조했습니다.
실차는 6번 암이 쇽업소버와 함께 2개의 조인트를 통해 움직이지만 키트에서는 6번 암을 쇽업소버와 함께 접착하여 차체에 고정하게 되어있지요. 이걸 움직이게 하려면 소소한 개조를 해줘야 합니다. ㅎㅎ
키트의 쇽업소버 부품입니다.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가 있습니다.
실제로는 표시된 좌측과 우측에 조인트가 있는데요, 여기서는 좌측에 표시된 조인트부만 개조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쇽업소버 부품을 실린더(A)와 피스톤부분(C)으로 분리합니다. B는 프라봉으로 대체할 것이므로 필요없는 부분입니다.
C부품에는 그림과 같이 피스톤을 연결할 구멍과 서스펜션암이 연결될 구멍을 뚫어줍니다.
C부품에 프라봉을 붙여서 피스톤을 만들어줬습니다.
A부품에는 피스톤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멍을 내줍니다. 실제로는 금속이라 얇지만, 프라스틱 재질의 한계로 얇게 만들기가 어려웠습니다.
6번 암에 그림과 같이 쇽업소버를 연결할 구멍을 뚫어줍니다.
그리고 여기에 0.8t 황동봉을 잘라서 박아줍니다. 작동시에 쇽업소버 피스톤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표시된 부분을 깎아줍니다.
서스펜션 작동시에 쇽업소버 피스톤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둥글게 다듬은 모양입니다.
쇽업소버 실린더를 차체에 접착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제작해둔 피스톤부품을 실린더에 끼우고 암의 핀에 연결하면 완성입니다!
바퀴를 붙이고 트랙을 끼운 상태입니다.
아카데미 3호전차는 바퀴가 돌지 않아서 RC등의 개조는 어려운 점이 아쉽습니다.
다음에 키트를 내실 때는 폴리캡 등을 넣어주셔서 구동이 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서스펜션이 잘 작동합니다.
이상으로 아카데미 3호전차의 서스펜션 개조였습니다!